부자 아빠

새마을금고, 신협의 고금리 예금 시 경영 안정성을 꼭 확인하세요!

hunchackbang 2023. 3. 7. 23:28
반응형

시중은행 정기 예금 금리가 많이 하락했다.
2월 말 기준 시중은행 정기 예금 금리는 3.45~3.7% 정도이다.
저축은행도 5% 금리의 1년 이상 정기예금은 사라졌다.
 
반면에 상호 금융 조합(새마을금고, 신협 등)에서는 아직 5% 예금금리를 제공하는 곳이 상당수라고 한다.
이같이 지역 조합에서 아직도 높은 예금금리를 제공하기에 상호 금융 조합 예금이 늘고 있다.
 

www.joongang.co.kr/article/25144611

 
그런데 주의할 점이 있다.
지역 조합 중 자산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온 곳이 많다고 한다.
이 같은 이유는 저축은행도 금융당국이 유동성 비율 100% 이상으로 규제하는데, 신협/새마을금고 같은 상호 금융 조합은 이런 규제가 없다고 한다.
즉, 규제 사각지대에 있다는 것이다.
 
유동성 비율이 100% 미만일 경우, 갑자기 예금 인출자가 몰리는 상황이 되었을 때 조합이 갖고 있는 현금성 자산을 총 동원해도  예금액 100%를 돌려줄 수 없다.
유동성 비율이 80%면 80%까지 돌려줄 수 있고, 50% 미만이면 절반도 못 돌려준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축은행도 유동성 비율 100% 이상으로 규제되는데, 지역 조합은 규제 비율이 없어 유동성 비율이 낮은 부실 조합이 예금자 보호면에서 우려가 되는 것이다.
아래 대구, 부산 새마을금고의 유동성 비율만 봐도 상당히 우려된다.
 

www.joongang.co.kr/article/25144611

 

특히 새마을금고가 부각되는 이유는, 중앙회와 지역 금고 간의 법적 다툼 때문이다.
대구 지역에서 중견건설사가 오피스텔 공사를 중단하면서 중도금을 대출했던 지역 새마을금고가 동반 부실 우려에 휩싸였다.
이에 중앙회는 대출 회수 가능성이 적은 신천·큰고개·대현·성일 등 12개 지역 금고에 해당 대출 잔액의 최소 55%를 충당금으로 쌓으라고 요구했다.
근데 이 12개의 지역 금고가 충당금을 못 쌓게 다며 법적 다툼을 일으키는 말도 안 되는 일을 자행하였다.
이렇게 예금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내가 이 같은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이유는 하나다.
나도 새마을금고 예금에 가입하였기 때문이다.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더라도, 위험한 곳에 1원이라도 돈을 맡기고 싶지 않다.
그렇다고 무작적 예금 해지를 할 수는 없기에, 내가 돈을 맡긴 지점의 재정 상태를 알아보기로 했다.
새마을금고 모든 지점이 부실 위험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지역 지점들이 문제가 되는 것이고, 인출금을 지점에서 못 줄 상황이 된다면 중앙회가 나설 것이기 때문이다.

겁먹기보다 내가 돈을 맡긴 새마을금고 지점 경영 상태가 어떤지 확인해 보자.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 들어가 '전자공시' (위 적색 표시 부분)를 클릭한다.

 

 

위 검색조건에서 내가 예금 가입한 새마을금고명을 입력한다.

(금고명을 모르면 지역명 검색으로 찾아도 된다)

 

(출처)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출처)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자, 이제 경영상태가 어떤지 살펴보자.

앞에서 언급한 유동성비율(27번)은 91.8%로 100%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

예금 해지 맘이 들지만 아래 '상호금융 안전성지표'를 참고로 좀 더 살펴보자.

먼저 자기자본비율이 8%로 넘느냐? 못 넘네ㅜ 불합격!

경영실태평가등급은 2등급으로 아래 기준과 비교 합격!

25번 순자본비율 4.96%로 합격!

이미 언급했지만 27번 유동성비율은 불합격!

28번 총자산순이익률은 0.41%로 불합격! 

26번 손실위험도가중여신비율 2.57%로 합격!

순고정이하여신비율 0.24%로 합격!

연체대출금비율 0.25%로 합격!

내가 가입한 새마을금고 지점은 총 8가지 안정성지표 중 5가지가 합격 기준에 부합했다.

거기에 5000만 원 이하는 예금자 보호를 받기에 만기까지 놔두기로 결정했다.

 

 

www.joongang.co.kr/article/25144611

 

금리가 높아도 안전성이 낮으면 돈을 맡기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하다.

특히 5000만 원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