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통한 작은 생각의 복리 효과

주파수를 맞춰라<밥 프록터의 부의 확신>

hunchackbang 2025. 2. 10. 22:22
반응형

하늘의 조각구름들이 커져 큰 구름이 되고, 비가 쏟아진다. 지상으로 쏟아진 물은 다시 원래 있었던 곳으로 되돌아간다. 생각도 그렇다. 생각과 생각이 모여 이 생각이 커지면 말과 행동으로 나오고, 그것을 통해 실제 상황이 발생한다. 이것이 생각이 상황을 끌어당기는 원리를 설명한다. 물리적이지 않은 생각이 물리적인 상황으로 바뀌는 원리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생각만 하면 모든 게 다 이뤄진다는 것인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생각이 현실이 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달렸다. 당신이 진정 원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했느냐에 그 결과가 달려있다.

당신이 원하는 것이 이루어진 모습을 상상하라. 반복적으로 상상하여 신념이 되게 하라. 원하는 것이 이뤄졌다고 믿고 이뤄진 것처럼 살아라. 그럼 당신의

정신 주파수가 당신이 원하는 것이 있는 주파수로 맞춰진다. 생각은 정신(마인드)에서 나온다. 이 생각이 상황을 끌어당긴다. 그렇다면 성공하는 상황을 만들려면, 성공하는 생각을 해야 하고, 성공하는 생각을 하려면 우리의 정신 주파수를 성공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더 쉽게 풀어가 보자. 우리는 우리와 코드가 맞지 않는 사람과 친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코드가 정신 주파수와 비슷하다. 이 주파수는 자신과 동일한 주파수만 끌어당긴다. 그렇기에 우리의 정신 주파수도 자연스레 그 파장에 맞는 생각만 끌어당긴다는 것이다.

 

실제 예를 들어보겠다. 당신이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 많이 했다고 치자. 그런데 왜  부자가 못되었을까? 하루 동안 생각을 점검해 보면 알 수 있다. 당신이 부자가 되고 싶은 건 돈 때문에 서럽고, 구질구질하고, 돈 많은 사람이 부럽고 일하기 싫고 편하게 살고 싶고 놀고 싶고 여행 다니고 싶고 좋은 집, 좋은 차를 타고 싶어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부자가 될 수 있는 생각이 아니다. 가난한 주파수에 있는 가난한 자 입장의 생각일 뿐이다.

 

부자가 될 수 있는 생각은 부자의 주파수에 맞추진 생각이다. 가난한 자의 주파수로 부자를 동경하고 부러워하는 생각과는 다르다. 바로 부자처럼 생각하고, 부자의 입장에서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부자가 아니라서 그들의 생각을 모르겠으면 부자를 만나라. 주변에 부자가 없다고? 그럼 부자가 쓴 책을 봐라. 인터뷰를 봐라. 강연을 들어라. 그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것들로 그들과 같은 주파수에 맞춰라. 그리고 부자가 된 당신의 모습을 상상하라. 마음속 화면에 부자가 되었을 때 당신의 모습을 띄워라. 이렇게 반복해서 주파수를 맞추고 그 주파수에 머물러라. 그래야 돈을 끌어당길 수 있다. 부자가 될 수 있다.

 

매일 하는 습관적인 행동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의식적인 반복을 통해 습관적인 행동으로 바꿔야 한다.

당신이 원하는 것은 당신이 머무는 주파수보다 훨씬 더 높은 곳에 있다. 당신이 진정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결정을 내릴 때, 우리가 원하는 것이 있는 그 주파수에 맞춰지게 된다. 이 주파수를 유지해야 한다. 주파수는 행동뿐 아니라 우리가 끌어당기는 대상도 통제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욕망하는 가치의 주파수에 맞춰 움직여야 한다.  주파수가 맞춰지면 원하는 것에 대한 생각, 행동, 말, 상황, 사람이 절로 끌어당겨진다. 이것이 법칙이다. 그러니 주파수를 맞추고 그 주파수를 유지해라. 진정 원하는 것을 하라. 그리고 인내심을 갖고 내가 원하는 것이 있는 주파수에 머물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하라. 그리할 때 실제 상황이 된다.

반응형